분류 전체보기 16

색온도와 화이트밸런스

색온도는 켈빈 온도(Kelvin scale), ˚K로 표시하며 광원의 색을 절대온도를 이용해 숫자로 표시한 값이다. 붉은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가 낮고, 푸른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가 높다. ​ 특정 조명 아래에서 백색의 종이를 촬영하게 되면 백색의 종이는 특정 조명의 색상을 반영한 색으로 촬영이 된다. 예를 들면 노란색 조명에서 촬영된 종이는 자동 화이트밸런스로 촬영할 경우에 노란 색을 띄며 촬영되게 된다. 화이트밸런스를 맞춘다는 의미는 이렇게 특정 조명 하에서 촬영된 흰색 종이의 색상을 특정 조명의 색을 제거하고 원래의 색인 흰색으로 맞춰준다는 의미 이다. ​ 카메라에서 인지하는 색상의 균형은 회색 명도 18%를 기준값으로 사용하며, 기준 색온도를 낮게 설정하면 사진의 톤은 푸른색으로 변화하고..

사진관련 2021.04.26

색의 3원색, 빛의 3원색, 보색

1. 일반적인 색의 비교 1) 무채색 : 흰색, 회색, 검정색 (색상, 채도가 없는 색) 2) 유채색 : 무채색이 외의 색 ​ 2. 삼원색 : 어떤 색상을 섞어도 만들어낼 수 없는 색 ​ 3. 색의 삼원색 : Cyan, Magenta, Yellow(CMY) --> 이론적으로 삼원색을 섞으면 검은색이 됨 - 그러나 실제로는 CMY를 모두 섞으면 검은색이 아니라 짙은 갈색이 됨. - 실제 프린트 잉크에서는 CMYK (Cyan-Magenta-Yellow-Black) - 잉크나 물체의 색은 물체가 반사하는 빛의 색 ​ 이 삼원색을 배합하면 모든 색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색의 삼원색을 섞어서로 다른 색을 만들어 내는 방식을 감산혼합이라고 하는데, 삼원색을 똑같은 양으로 섞으면 검정에 가까운 짙은 회색이 만들어..

사진관련 2021.04.26

카메라 피사계 심도표 : 내 랜즈는 아웃포커싱이 얼마나 될까?

풀프레임 카메라의 심도표를 정리 하였다. 24mm랜즈 부터 400mm랜즈까지 조리개 및 거리에 따른 심도를 알 수 있다. ​예로 24mm의 랜즈로 찍을 때 촛점을 맞추는 거리가 1m 라면 촛점 맞는 구간은... 조리개 1.4 : 0.93~1.08m (총 15cm의 간격에서 촛점이 맞음) 조리개 4.0 : 0.83~1.26m (총 43cm의 간격에서 촛점이 맞음) 조리개 5.6 : 0.78~1.40m (총 62cm의 간격에서 촛점이 맞음) 50mm의 랜즈는 1m에서... 조리개 1.4 : 0.98~1.02m (총 4cm의 간격에서 촛점이 맞음) 조리개 4.0 : 0.96~1.05m (총 9cm의 간격에서 촛점이 맞음) 조리개 5.6 : 0.94~1.07m (총 13cm의 간격에서 촛점이 맞음) ​85mm의..

사진관련 2021.04.26

촛점거리란?

촛점거리란 무한대에 촛점을 맞추었을 때, 렌즈의 제2주점과 촬상면 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랜즈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되는 요소 이다. 또한 이때 제2주점에서 촬상면의 대각 길이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화각이라고 하며 이 화각에 따라 광각 렌즈, 표준렌즈, 장촛점 렌즈등으로 구분된다. 아래의 그림은 위키피디아에서 참고한 것인데 화각에 따른 랜즈 분류의 기준을 알 수있다. 초점거리가 같다고 화각이 정확히 같은것은 아니다. 초점거리는 랜즈의 2주점과 촬상면과의 관계이기 때문에 같은 촛점 거리라 해도 화각은 랜즈에 따라 다를수 있다고 한다. 특히 판형이 틀리게 되면(중형, 대형) 촛점거리가 같아도 화각이 틀려지므로 촛점거리가 같아도 화각은 크게 다를 수 있다. 우리가 랜즈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

사진관련 2021.04.26

디지탈 카메라 이미지 크기(화소) 비교 및 출력물 크기 관계

흔히 화소라고 말하는 이미지 크기를 비교해 보았다. 전문가가 아니라서 자세한 것은 모르지만 색 정보의 입자가 모여서 사진이 만들어지는데, 그때 사진을 이루는 색 정보를 갖는 픽셀수의 합을 1천만화소, 또는 2천만화소 등의 화소라는 말로 부르고 있다. 그림에서 가장 작은 크기가 400만 화소인데, 오래전 캐논의 1d 라는 플레그쉽 카메라도 겨우 400만 화소였으며, 그때와 비교하면 지금은 많은 발전을 이뤘다고 할만 하다. 지금은 400만 화소면 너무 작아서 상상을 할수 없을 정도이지만 100만화소, 200만화소, 300만화소의 카메라가 대세인 적도 있었다. 아무튼 요즘은 2000만화소 이상의 픽셀수의 카메라가 대세이며 더큰 화소수의 카메라도 많다. 필자는 30만 화소의 카메라로 디카에 입문하였다. ^ ^ ..

사진관련 2021.04.26

이미지 센서(카메라센서) 크기 비교 및 노이즈 관계

카메라 센서 크기를 한눈에 비교해 보았다. FF : 풀프레임 카메라 1.3 : 1:3 크롭 카메라 일명 APS-H 혹은 변태크롭 1.85 : APS-C 크롭 카메라 4:3 : 마이크로포서드 타입 카메라 1 inch : 1인치 규격의 센서를 갖는 카메라 대략의 구분은 이와 같다. ​괄호안의 숫자는 풀프레임 대비 면적 비율이다. 1.3크롭은 풀프레임의 60%의 면적을 갖고, 1.5 크롭은 풀프레임의 43%의 면적이며, 1인치 카메라의 경우는 풀프레임의 13.9%의 면적을 갖는다. 대략적으로 1인치 카메라의 센서 면적은 풀프레임의 약 1/7의 면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센서 분류 및 용도에 따른 카메라의 구분은 캐논을 예로 다음과 같다. 동등 기술의 적용에 대하여 풀프레임 센서의 노이즈가 가장 ..

사진관련 2021.04.23